“北 사상적으로 허물어져가는 상황”
[아시아투데이=신대원 기자]
북한 사회가 내부적으로 대단히 취약하고 사상적으로 허물어져가는 상황에 처해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980년대 ‘강철서신’을 통해 우리 사회에 주제사상을 처음 소개한 김영환 북한민주화네트워크 연구위원은 21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2010 북한인권국제회의’에서 북한내 변화 기류를 전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김 연구위원은 대북 유관단체들이 여러 차례에 걸쳐 만난 북한의 국영 무역회사 간부나 해외 체류중인 북한 외교관들의 경우 북한체제에 대한 신념도 없고 주체사상에 대한 충성심도 거의 보이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사적인 자리에서 만났을 때 공공연하고 노골적으로 북한의 미래에 대해 굉장히 불안을 표시한다든지 심지어는 북한이 붕괴됐을 때 자신을 보호해 줄 수 있는지를 질문해 오는 북한 간부들도 몇명 있었다”고 소개했다.
김 연구위원은 자신이 1991년 비밀리에 방북해 김일성 주석을 만났을 때에는 김 주석이 강한 자부심을 갖고 있었으며, 당시 만났던 북한 고위 간부들도 경직되고 무능해 보이기는 했지만 북한 체제와 이념에 대해 강한 충성심은 갖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북한민주화네트워크와 세종연구소, 미 국립민주주의기금(NED)이 공동 주최한 이날 행사에서 오경섭 세종연구소 연구위원은 “김정일이 5년 이내에 사망하고 김정은의 리더십이 약할수록 3대 세습이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며 “김정일이 5년 이상 생존하고 김정은의 리더십이 강할수록 3대 세습이 성공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전망했다.
오 연구위원은 이어 “한미 양국 정부는 3대 세습이 성공할 경우의 시나리오와 관련, 지배 엘리트의 분열 등 북한 정권을 약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3대 세습이 실패할 경우의 시나리오와 관련해 위기대응 방안을 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또 대북 라디오방송을 이용한 북한 주민들에 대한 외부의 정보제공과 이 과정에서의 탈북자들의 역할 등에 대한 토론도 이뤄졌다.
<신대원 기자 shindw@asiatoday.co.kr>
|